안녕하세요 초록벌입니다.

오늘은 여인초와 극락조를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합니다.
커다랗고 시원시원한 잎으로 플랜테리어 역할을 톡톡히 하는 여인초와 극락조.
잎이 뻗어나가는 모양새와 큰 크기가 언뜻 비슷하게 보여 같은 식물로 오해받곤 하지만
사실 두 식물은 전혀 다른 종이라고 합니다.

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?
잎의 모양
여인초는 넓적한 잎을 가진 반면, 극락조의 잎은 더 좁고 하늘을 향해 솟은 듯한 모양을 보입니다. 여인초 잎은 자라면서 아래로 약간 처지는 경향이 있습니다.
알쏭달쏭..
이렇게 구분해서 봐도 참 어렵긴 하네요.
줄기
자연속에서 자라는 여인초의 경우 굵은 중심 목대에서 부채처럼 잎자루가 퍼지는 모양을 하고 있어 극락조와 더 잘 구분되지만, 우리가 보통 화원에서 구입할 때에는 잎자루만 있는 경우가 많아 이 모습으로 구분하기는 다소 어렵습니다.
꽃
두 식물의 꽃은 확연히 다릅니다. 야자수 꽃은 줄기와 색이 비슷하고 꽃잎의 색깔도 두드러지지 않는 반면, 극락조의 꽃은 밝은 주황색의 아름다운 모습을 가지고 있습니다(꽃의 구조 자체는 상당히 비슷한 듯 합니다만..). 극락조bird of paradise라고 불리는 것도 꽃 모양이 새인 극락조를 닮아서입니다. 포털에서 극락조를 치면 거의 식물만 나오던데, 진짜 극락조들은 자신의 이름을 빼앗겨버린 기분이 들지도 모르겠습니다.
학명
학명으로 보면 이 둘은 같은 과이지만 다른 속에 속합니다.
여인초, 여인목
과 : Strelitziaceae극락조화과 / 속 : Ravenala 부채파초속
학명 : Ravenala madagascariensis
극락조, 극락조화
과 : Strelitziaceae극락조화과 / 속 : Strelitzia 극락조화속
학명 : Strelitzia reginae
외양이 비슷한 것이 같은 과에 속해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네요.
구매팁
화원에서 두 식물을 구매한다면, 대부분이 성체가 아니므로 구분이 더 어렵습니다. 유묘일 경우 잎이나 줄기의 생김새가 거의 흡사하거든요. 더구나 이렇게 구분이 어렵다보니 판매하는 곳에서도 둘을 혼동하여 사용하는 곳이 많고, 구매자들은 더욱 큰 혼란에 빠지게 되는 것 같습니다. 하지만 극락조가 여인초보다 가격대가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, 극락조를 구매하고 싶을 때에는 조금 더 신중해야겠습니다. 극락조라는 이름에서 오는 신비감때문일까요? 여인초인데 극락조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경우도 적지 않거든요.
'식물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식물책 리뷰] 글로스터의 홈가드닝 이야기 - 초보식집사를 위한 열대 관엽 가드닝 가이드북 (2) | 2022.08.29 |
---|---|
의미있는 개업화분 추천 - 식물의 꽃말과 플랜테리어를 고려한 개업화분 추천, 집들이 화분 추천, 식물 선물 추천 (0) | 2022.08.10 |
몬스테라 종류 파헤치기 : 10 types of Monstera (0) | 2022.07.25 |
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8대 실내 식물 – NASA 공기 정화 식물 (0) | 2022.07.15 |
희귀 식물 입문자 추천! 초보도 집에서 키우기 쉬운 필로덴드론 Best 5 (0) | 2022.07.03 |